우리 분자유전공학과는 생명현상을 분자적, 생화학적, 유전(체)학적, 후성유전학적 수준에서 이해하고 그 원리를 응용한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인류의 식량 및 환경문제, 그리고 인류의 건강증진을 위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물자원 및 식물을 이용한 유용물질 개발 등 21세기 아이오시대를 선도하는 학문적 소양과 공동체 구성원으로 인성 및 통섭적 사고를 지닌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또한 변화하는 미래 기술 및 산업환경에 대비하고자 우리 분자유전공학과는 다음의 전공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세부적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- 생명공학 기술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 역량
- 친환경 바이오 농식품 안정성 평가 역량
:: 교육목표에 따른 교육과정의 연계성
세부교육영역 |
|
교육내용 |
|
개설교과목 |
|
|
|
|
|
유전공학기초분야 |
|
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유용식물자원 및 소재개발에 필요한 학문의 기초적 이해와 이론을 학습한다. |
|
일반생물학, 일반화학, 기초미생물학및실험, 기초생명과학및실습 |
|
|
|||
|
|
|
|
|
유전공학기본분야 |
|
생물의 유전, 생리 현상에 관한 기 초적 이론의 습득과 생명과학 전반 에 대한 기본적 소양을 습득한다. 또한, 식물에 대한 기본지식을 공부 한다. |
|
(전공필수) 일반생화학, 분자생물학, 식물생리학, 세포생물학, (전공선택) 식물과학의 이해*, 유기화학 개론, 유전학, 생화학실험, 생물통계학및실습, |
|
|
|||
|
|
|
|
|
생명공학 기술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 분야 |
|
식물자원 생산극대화를 위한 식물생리현상의 분자생물학적, 세포생물학적, 유전(체)학적 탐구 및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식물자원 개발 기술 등에 대한 이론을 습득하고 현장실무능력을 배양한다. |
|
대사생화학*, 바이오엔지니어링 실무*, 생물소재응용실습, 유전공학실험, 유전자조절, 생명공학, 식물세포공학, 식물대사체학*, 유전체학 |
|
|
|||
|
|
|
|
|
식물분자생리 및 유전육종 분야 |
|
유용 식물자원의 창출과 개량을 위하여 유전육종 이론을 교육하고, 생명공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분자육종분야 응용 능력을 습득한다. |
|
분자유전학*, 육종*, 식물형태 해부학실험, 식물분자생리학 실험, 작물, 식물분화발달, 식 물과 환경, 분자유전공학세 미나 |
|
|
|||
|
|
|
|
|
친환경 바이오 농식품 안전성 평가역량 분야 |
|
응용생물공학과와 함께 공동과목을 운영하여 융합교육을 강화하고 학생 들의 교과목 선택의 폭을 넓혀 학과 특성화 분야(바이오엔지니어링)에 부합하는 융합형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고부가가치 식물소재 개발과 생산과정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이 론 및 응용능력을 습득한다. |
|
식물생산학*, 종자산업학*, 식물조직배양및형질전환실험*생물정보학및실습*, 바이오기 기분석*, 바이오엔지니어링 실습, 식물면역학, 생물자원 보존학실습, (응용생물공학과 개설) 임상식물병학*, 균학*, 곤충생리학 및 실험*, 농산물 안전성학* |
|
|
|||
|
|
|
|
|
교직과정 |
|
|
|
농업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농업교과교육론 농업교과논리및논술 |
* 바이오엔지니어링 프로그램 이수 과목 (15과목, 유전공학과 개설 11과목, 응용생물공학과 개설 4과목)